분류 전체보기 258

linux에서 history 보기 편하게 설정

history 설정 linux 서버를 새로 세팅하는 경우, history가 보기 어려워 실행 시간을 추가 해 준다. 이미 지난 히스토리의 경우, 날짜를 판단할 수 없어 history명령어 실행 시간으로 나오기 때문에 가능하면 서버 세팅과 동시에 해 주는 것이 좋다. # /etc/profile HISTSIZE=10000 # 변경 HISTTIMEFORMAT='[%y-%m-%d %H:%M:%S] : ' export HISTTIMEFORMAT

wireshark 에서 패킷 캡쳐 하는 방법

패킷캡쳐 ip로 찾고 싶을 때, 상단 display filter 에 [ ip.dst == 'ip주소' ] info 에 원하는 url 보낸 것 찾아서 우클릭 > follow > tcp stream > 인코딩 UTF8로 변경 SSL 걸린것은 확인할 수 없음 ( 인증서 등록 따로하고 확인 가능하다고 하는데 확인해보지 않음 ) 패킷캡쳐가 되지 않을 때 ( 2.6.8 기준 ) 관리자 모드로 실행 후 이더넷 클릭

mysql 과 mssql에서 프로시저 내 텍스트 검색

텍스트검색 MySql # 프로시저/함수 에서 텍스트검색 SELECT * FROM information_schema.routines WHERE routine_definition LIKE '%키워드%' AND routine_schema = 'DB명' MSSQL # 프로시저에서 텍스트검색 SELECT * FROM syscomments WHERE text like '%키워드%' # 테이블, 플로시저 등 생성날짜, 수정날짜 확인 SELECT * FROM sys.objects ORDER BY modify_date DESC`

프로젝트 실행 시 address is already in use가 나오는 경우

프로젝트 실행 시 address is already in use 메세지 프로젝트를 실행 할 때, 80이나 8080포트로 실행할 경우 가끔 해당 에러 메세지가 나오는 경우 netstat -ano | find ":80" 혹은 netstat -ano | find ":8080" taskkill /F /PID 숫자 만약 pid 4로 나오는 것이 계속 떠 있으면 iis같은 서비스 종료 해 줌 net stop httpd nginx사용중이면 nginx종료